• 2024. 2. 29.

    by. 로사윤

    칫솔질
    칫솔질의 목적과 다양한 칫솔질 방법

    칫솔질의 목적

    칫솔질은 치아 표면과 인접면 사이에 부착되어 있는 획득피막, 음식물잔사, 치면세균막 등을 (제거) 하고, 치은을 마사지하여 치은에 혈액공급을 증대시키며, '치은 상피의 각화를 촉진시켜 감염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준다.


    지난 50년 동안 많은 칫솔질 방법들이 고안한 사람의 이름이나 칫솔질 동작에 따라 소개되어 왔다.
    현재에도 다양한 칫솔질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환자 자신이 치면세균막을 가장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야 하며 이와 같이 개선할 수 있도록 전문가가 교육하여 주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들어 수동 칫솔을 사용하는 것이 음파칫솔을 사용하는 것보다 치아마모도가 더 높다는 연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이는 칫솔질 방법이 적절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칫솔질 방법을 학습하고 개선하여 주고 치아우식증과 치주병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하여야 한다.

    칫솔질 방법

    칫솔질 방법은 치아의 배열상태와 결손치아의 유 무, 구강 내 인공장치물, 치주조직의 건강상태, 환자의 협조도에 따라 선택하여야 한다. 칫솔질 교육 은 치면착색재를 이용하여 치면세균막 부착정도를 측정하여 세균막을 빠뜨림 없이 닦을 수 있도록 교육하여야 하며, 환자의 칫솔질 교육 습득 정도에 따 라 주기적으로 반복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칫솔질은 식전보다는 식후에 하는 것이 구강병 예방에 효과적이며 가능한 매 식후와 취침 전에 하도록 해야 한다.

    그러면 여러 가지 칫솔질 방법을 알고 나에게 적합한 칫솔질 방법을 알아보자.

    횡마법(Scrub brush method)

    칫솔의 강모단면을 치아 표면에 직각으로 대고 전후왕복으로 치아표면을 닦는 방법으로 치경부마모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일반 성인에게는 권장하지 않는 칫솔질 방법이다.

    종마법(Vertical method)

    칫솔의 강모단면을 치아의 순(협)에 직각으로 대고 상하로 반복하여 이동시키면서 치아 순(협) 면을 닦는 방법이다.

     

    묘원법(Fones method)

    칫솔질이 서투른 유아를 대상으로 칫솔질에 홍미를 유발해 주고, 동시에 치면세균막의 제거 효과도 갖게 하는 방법이다. 교합상태에서 전치부 치아의 순면에 강모단면을 직각으로 위치시킨 후 전치부에서 좌측 구치부 쪽으로 큰 원을 그리듯이 문지르며 치아와 치은을 닦아주고 우측도 같은 방법으로 닦아준다. 이 방법은 치간 사이는 효과적으로 닦을 수 없지만, 장차 회전법으로 전환시키는 데는 유리하다. 비교적 칫솔질이 쉬워 회전법을 시행하기 어려운 유아에게 적당하나 치아의 설 면과 인접면을 닦기에는 제한이 따른다.

     

    회전법(Rolling method)

    대한치과의사협회(KDA) 및 미국치과의사협회 (ADA)에서 일반 대중에게 추천하는 방법이다.
    협 설면은 칫솔의 강모단면이 치근단을 향하게 하고 강모의 측면이 치아의 장축 방향과 평행하도록 하여 치근단 부위 깊숙이 넣고, 교합면 방향으로 손목에 약간의 힘을 주어 돌리면서 쓸어내는 방법이다. 단, 상하악 전치부 안쪽은 입천장이나 혀가 있는 부위로 칫솔을 세로로 세워서 칫솔모의 끝부분(heel)이 설측치은연에 닿도록 위치시킨 다음 안에서 밖으로 큰 원을 그리면서 훑어내는 방법이다.
    음식물 잔사나 치면세균막의 제거가 쉽고 치은 맛 사지 효과가 좋으며 비교적 실천성이 좋다.

     

    스틸맨법(Stilman method)

    칫솔의 강모단면이 치근단을 향하고 치아 장축과 45도로 하여 치은선에 위치시켜 약간의 압력을 가해 칫솔을 전후로 빨리 진동시키면서 치아표면까지 이동시키는 방법이다. 잇몸 마사지 효과가 크며 치은의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광범위한 치은염 환자에게 권장되나 칫솔질이 쉽지 않아 어려워 실천성이 낮고 칫솔질을 잘 못하면 치은에 위해자극을 줄 수 있다.

     

    바스법(Bass methad)

    1950년대에 내과의사인 바스(Dr, Bass)에 의하여 고안된 방법으로 한 줄 또는 두 줄의 비교적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하여 칫솔모의 일부가 치은 열구 (gingival sulcus) 내에 들어가도록 칫솔을 치아 장축에 45도 각도로 위치시켜 전 후로 짧은 진동을 1초 당 4회 정도의 속도로 20회 정도 주며 닦는 방법이다. 이때 진동은 강모가 휘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진동을 주어야 한다. 2열 칫솔이 아닌 4열 칫솔의 경 우 2열은 열구에 나머지 2열은 치은에 위치시켜 닦으면 된다. 치주질환자의 치료와 더불어 사용하거나 치아와 잇몸 경계부위의 치은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칫솔질 방법이다. 그러나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하기 때문에 치면세균막지수가 높아질 수 있으며, 치간 사이가 잘 안 닦이며 실천하기가 어렵다. 치은에 위해작용을 줄 수 있어 반드시 전문가의 교육이 필요하다.

     

    차터스법(Charter method)

    칫솔의 강모단면이 교합면 쪽을 향하게 하여 45도 각도로 혹은 치아장축에 직각이 되도록 치경부에 위치시켜 원호운동으로 짧은 진동을 주어 치아표면과 치간 사이 및 인접면 그리고 인공치아 기저부 등 의 치면세균막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특히 인접면이나 인공치아 기저부에 효과적이며, 고정성보철물 주위조직에 대한 마사지 효과가 있으나 잘못 시행하면 치은에 위해작용을 줄 수 있으며 실천하기가 어렵다.

     

    개량 바스법(Modified Bass method)과 개량 스틸맨법(Modified Stillman method)

    ① 개량 바스법(modified Bass method)

    치아 표면을 잘 닦기 위하여서는 개량 바스법 (modified Bass method)을 사용하도록 한다. 개량 바스법은 칫솔모가 치은열구(gingival sulcus) 내에 들어가도록 칫솔을 치아에 45도 각도로 삽입하여 짧은 진동으로 치은열구 내의 치면세균막을 제거한 다음, 치경부에서 칫솔을 치아 장축방향으로 ;평행하게 다시 위치시켜 약간의 압력을 가하면서 교합 면쪽으로 손목을 회전시켜 쓸어내리거나 쓸어 올려 주는 방법이다. 기본적으로 바스법과 동일하나 치아 표면 치면세균막을 잘 제거하기 위하여 칫솔을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바스법과 회전법을 병용한 것이다.

     

    ② 개량 스틸맨법(modified Stillman method)

    3~4줄의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하여 칫솔을 치은 선에 45 각도로 위치시켜 짧은 진동을 가하여 치은과 치면을 닦는 방법으로 각 부위당 약 6~10회 정도 반복하여 치은염을 완화시켜 주는 방법인 Sil-man법을 시행한 후 칫솔에 약간의 압력을 가하면서 교합면을 향해 손목을 회전시켜 쓸어내리거나 쓸 어 올려주는 방법이다.

     

    와타나베법(Watanabe method, Tooth-pick method)

    와타나베(Watanabe)가 고안한 방법으로, 2열 직 진 형태의 칫솔(2x6)로 만성적인 치은염이나 치주 질환이 있는 경우 치간 사이를 깨끗이 닦아내는 방법이다. 치주조직병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으로 처음에는 전문가가 직접 환자에게 시술하여서 환자 스스로 습관화되도록 유도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