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아 홈메우기의 개념과 효과 건강보험 적용 여부 치아 홈메우기의 개념
치아 홈 메우기는 실란트(sealants)라고도 하고 전문용어로 치면열구전색이라고도 한다. 치아 홈메우기는 구치부의 교합면에 있는 깊고 좁은 틈새, 즉 소와와 열구를 복합레진으로 메꿔 줌으로써 충치를 예방하는 방법입니다. 소와와 열구는 좁고 깊은 형태학적 구조 때문에 쉽게 음식물 찌꺼기가 끼고 칫솔질로도 잘 제거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소와와 열구에서 세균이 증식하여 충치가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치아 홈메우기는 충치가 발생되기 쉬운 형태의 치아 홈을 치과 재료로 메꿔줌으로써 충치를 예방하는 원리입니다. 치아 홈메우기는 건강보험 적용이 되어 비용이 비싸지 않기 때문에 예방적 차원에서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치아 홈메우기 과정
치아 홈메우기는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쳐 진행됩니다.
1. 치면 청결(surface cleanliness)
치아 홈메우기를 하기전에 치면에 붙어 있는 음식물 잔사, 착색등 기타 이물질들을 제거하여 청결한 상태로 만들어야 합니다. 러버컵이나 브러시를 이용하여 치면을 깨끗하게 닦아줍니다. 이때 사용하는 연마제는 산부식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기름 성분이나 글리세린을 포함하지 않은 것을 선택합니다.
2. 치아분리(isolation) 및 건조(dryness)
치아 홈메우기 대상치아를 청결히 한후, 치아 홈메우기를 하기전 타액에 오염되지 않도록 커튼롤등을 혀 아래나 협점막에 위치시켜 분리 합니다. 그리고 치면에 물기가 없도록 깨끗하게 건조합니다. 침이 너무 많은 경우 러버댐으로 치아를 격리하기도 하지만 보통은 커튼롤로 충분히 격리와 건조가 가능합니다.
3. 산부식 처리(acid etching)
치아 홈메우기 재료를 전색제라고 하는데, 전색제가 치면에 잘 결합할 수 있도록 산부식을 해줍니다. 건조된 치면에 산부식제를 도포합니다. 유치는 1분 30초, 영구치는 1분 정도 적용 후 물로 세척합니다. 산부식제의 재료는 보통 인산 30-50%로 겔형태를 사용합니다. 산부식은 치아의 표면을 탈회시켜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더 잘 접착되게 합니다.
4. 수세 및 건조
산부식제를 물로 깨끗이 씻어낸 후 다시 건조합니다. 물에 젖은 커튼롤을 교체하여 다시 혀 및 협점막을 분리합니다.
5. 전색제 도포
전색제를 도포합니다. 보통은 시린지 타입으로 광중합을 통해 경화되는 제품을 사용하여 빠르고 간편하게 시술할 수 있습니다.
6. 전색제 경화
보통 사용하는 광중합형 타입은 광조사기를 통해 전색제를 경화시킵니다. 광조사 시간은 20초 정도면 충분합니다.
7. 교합 체크
전색제로 인해 치아 교합이 높아지지 않았는지 체크하고 조정해 줍니다. 치아 주변을 정리해 줍니다.
치아 홈메우기의 발전과정
치아 홈메우기는 1985년 Wilson에 의해 처음으로 고안되었습니다. 당시에는 교합면의 소와와 열구에 물리적으로 소와와 열구를 막는 방법이었습니다. 그 후 1929년 Bodecker가 소와와 열구를 삭제한 후 수복물을 적용하는 방법을 발표했습니다. 이 방법은 더 나은 자정작용을 위해 좁고 깊은 소와와 열구를 더 넓혀 칫솔질이 용이하도록 하는 원리였습니다.
또 1929~1936년 Hyatt 또한 비슷한 방법의 예방적 충전술을 발표했으나 여러 논란이 있었습니다.
지금과 같은 치아 홈 메우기를 한 것은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반 사이입니다. 치아 홈을 메우는 수복물에 레진계열의 전색재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방법은 위에 설명한 원리와 같이 좁고 깊은 소와와 열구를 효과적으로 메꾸어 충치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최근에는 불소를 첨가한 전색재가 계발되어 더 효과적으로 충치를 예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교합면에 접착된 전색제의 불소가 법랑질에 흡수되면서 물리적, 화학적 예방 효과가 동시에 일어나는 것입니다.
치아 홈메우기의 건강보험 적용 시 비용
치아 홈메우기는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급여 진료입니다. 그러나 모두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치아 홈메우기가 건강보험이 가능한 나이는 만 18세 이하이며, 대상 치아는 대구치만 가능합니다. 따라서 유치나, 영구치 소구치, 사랑니(제3대구치)는 치아 홈메우기 치료를 할 경우 비보험 치료만 가능하고 건강보험 적용은 불가능합니다.
또 대구치에 해당하더라도 해당치아에 충치가 있거나, 치아가 깨진 경우, 또는 이미 한번 건강보험 적용을 받아 치아 홈메우기를 한 후에 탈락된 치아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건강보험이 적용될 경우 100% 무료는 아니고, 본인 부담금이 10% 적용됩니다. 따라서 한 치아당 1만 원 좌우의 비용입니다.
[치아 홈 메우기 건강 보험 적용 정리]
만 18세 미만 유아 청소년의 영구치인 제1대구치,제2대구치(총 6개의 치아)만 적용가능.
단, 건전한 치아여야 한다. 충치 있으면 불가하다.
'치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플란트 흔들림, 원인 및 해결 방법, 비용, 임플란트 흔들림 예방법 (0) 2024.03.09 임시치아 크라운 빠졌을 때 어떻게 하죠? (임시치아 비용) (0) 2024.03.09 크라운 치과 치료의 종류와 장단점, 치료과정과 주의사항 (0) 2024.03.06 임플란트 수술전 알아야 할 것과 임플란트 수술후 주의사항은? (0) 2024.03.06 임플란트 2차 수술 시 고려 사항과 수술 준비, 수술 과정 그리고 주의사항은? (0) 2024.03.02